[마감 시황]
- 코스피시장 -
4/24 KOSPI 1,889.01(-1.34%) 렘데시비르 코로나19 치료 효과 논란(-), 美 지수 선물 하락(-), 외국인/기관 순매도(-)
밤사이 뉴욕증시가 국제유가 급등세 지속에도 렘데시비르 효과 논란 속에 혼조세를 기록했고, 유럽 주요국 증시는 유가 급등 속 일제히 상승. 이날 코스피지수는 1,906.07(-8.66P, -0.45%)로 하락 출발. 장초반 낙폭을 확대해 1,895선까지 밀려났던 지수는 점차 낙폭을 만회하다 정오 무렵 1,908.29(-6.44P, -0.34%)에서 장중 고점을 형성. 이후 1,900선에서 하락세를 이어가던 지수는 오후 장중 급격히 낙폭을 확대해 1,880.71(-34.02P, -1.78%)에서 저점을 형성. 장 후반 일부 낙폭을 만회하며 결국 1,889.01(-25.72P, -1.34%)로 장을 마감. 美 길리어드 사이언스의 렘데시비르 효과 논란 속에 美 지수 선물이 하락세를 보인 점이 증시에 부담으로 작용. 아울러 김정은 신변이상설 지속, 국내 기업들의 실적 부진 우려 등도 부담으로 작용. 외국인과 기관은 동반 순매도하면서 지수 하락을 이끌었음.
한편, 코로나19 치료제 후보 중 가장 높은 기대를 받아온 길리어드 사이언스의 항바이러스제 '렘데시비르'가 1차 임상시험에서 실패했다고 영국 파이낸셜타임스(FT)가 전일(현지시간) 보도했지만, 길리어드는 즉각 성명을 발표하고 1차 임상시험이 낮은 등록률로 조기 종료된 것일 뿐 실패는 아니라고 반박했음.
중국, 일본, 대만, 홍콩 등 아시아 주요국 증시도 일제히 하락.
수급별로는 외국인과 기관이 각각 2,327억, 4,234억 순매도, 개인은 6,333억 순매수. 선물시장에서는 개인과 기관이 각각 1,347계약, 2,316계약 순매도, 외국인은 4,047계약 순매수.
이날 원/달러 환율은 전거래일 대비 5.8원 상승한 1,235.5원을 기록.
국고채 3년물 금리는 전거래일 대비 1.8bp 하락한 1.018%, 10년물은 전거래일 대비 0.1bp 상승한 1.546%를 기록.
3년 국채선물은 전거래일 대비 10틱 상승한 111.58로 마감. 외국인이 4,252계약 순매수, 금융투자는 2,711계약 순매도. 10년 국채선물은 전거래일 대비 18틱 상승한 131.84로 마감. 외국인이 788계약 순매수, 금융투자는 885계약 순매도.
코스피 시총상위종목들은 대부분 종목이 하락. 현대모비스(-4.52%), 기아차(-3.82%), 현대차(-2.49%) 등 자동차 대표주들이 실적 부진 여파 속에 하락했고, 한국전력(-2.80%), SK텔레콤(-2.78%), 삼성SDI(-2.64%), LG화학(-2.08%), 삼성바이오로직스(-1.66%), SK하이닉스(-1.45%), 카카오(-1.35%), 신한지주(-1.27%), 엔씨소프트(-1.21%), 셀트리온(-1.17%), 삼성전자(-1.00%) 등이 하락. 반면, NAVER(+1.32%), POSCO(+0.87%) 등이 상승했고, 삼성물산은 보합 마감.
업종별로도 대부분 업종이 하락. 건설업(-3.27%), 운수장비(-2.56%), 통신업(-2.30%), 전기가스업(-2.24%), 섬유의복(-2.23%), 비금속광물(-2.00%) 업종의 약세가 두드러졌으며, 보험(-1.81%), 은행(-1.66%), 의약품(-1.64%), 기계(-1.53%), 금융업(-1.52%), 화학(-1.52%), 제조업(-1.34%), 전기전자(-1.25%), 유통업(-1.17%), 서비스업(-1.00%) 등이 하락. 반면, 의료정밀(+1.72%), 음식료업(+1.37%), 운수창고(+1.02%) 업종만 상승.
마감 지수 : KOSPI 1,889.01P(-25.72P/-1.34%)
- 코스닥 시장 -
4/24 KOSDAQ 632.96(-1.68%) 렘데시비르 코로나19 치료 효과 논란(-), 김정은 신변이상설 지속(-), 외국인/기관 순매도(-)
밤사이 뉴욕증시가 국제유가 급등에도 렘데시비르 효과 논란 속에 혼조 마감한 가운데, 이날 코스닥지수는 640.19(-3.60P, -0.56%)로 하락 출발. 장초반 낙폭을 키워 640선 아래로 밀려나기도 했지만, 이내 낙폭을 축소하며 보합권에서 등락을 보임. 정오 무렵 645.22(+1.43P, +0.22%)에서 장중 고점을 형성한 지수는 오후 들어 하락세로 방향을 잡은 뒤 빠르게 낙폭을 확대. 오후 장중 629.12(-14.67P, -2.28%)까지 밀려나며 장중 저점을 형성하기도 했지만, 일부 낙폭을 만회한 끝에 632.96(-10.83P, -1.68%)으로 장을 마감. 美 길리어드 사이언스의 렘데시비르 코로나19 치료 효과 논란, 김정은 신변이상설 지속 속에 외국인과 기관이 동반 순매도하면서 지수 하락을 이끌었음.
수급별로는 외국인과 기관이 각각 1,039억, 570억 순매도, 개인은 1,653억 순매수.
코스닥 시총상위종목들은 셀트리온헬스케어(+1.19%)만 상승했을 뿐, 여타 종목들이 일제히 하락. 파라다이스(-4.46%), 알테오젠(-4.19%), 코미팜(-4.14%), 케이엠더블유(-3.74%), 원익IPS(-3.35%), 스튜디오드래곤(-3.21%), 에코프로비엠(-2.68%), 솔브레인(-2.55%), 제넥신(-2.09%), 헬릭스미스(-2.06%), 에이치엘비(-2.05%), 펄어비스(-2.00%), CJ ENM(-1.77%), 휴젤(-1.31%) 등이 하락.
업종별로도 대부분 업종이 하락. 비금속(-3.27%), 통신장비(-3.06%), 일반전기전자(-2.91%), 오락/문화(-2.89%), 종이/목재(-2.77%), 통신서비스(-2.70%), 반도체(-2.39%), 운송장비/부품(-2.38%), IT H/W(-2.23%), 기계/장비(-2.13%), 통신방송서비스(-2.07%), 제약(-2.01%), 제조(-1.95%), 건설(-1.94%), 방송서비스(-1.85%), 화학(-1.76%), IT 부품(-1.70%) 업종 등이 큰 폭 하락. 반면, 운송(+3.20%), 섬유/의류(+0.22%), 정보기기(+0.17%) 등 일부 업종만 상승.
마감 지수 : KOSDAQ 632.96P(-10.83P/-1.68%)
[특징 테마]
- 테마시황 -
▷금일 국내 증시가 하락한 가운데, 테마별로도 대부분의 테마가 하락. 주요 자동차 업체들의 실적이 부진하게 발표되면서 자동차 대표주, 자동차부품 테마가 하락. 美 인텔 2분기 실적 부진 전망 및 반도체 출하량 사상 첫 2년 연속 감소 전망 등으로 반도체 관련주들도 하락. 현대건설이 1분기 부진한 영업이익 발표 속에 건설 대표주들도 하락. RFHIC의 1분기 영업이익이 전년동기대비 77% 감소했다는 소식 속에 통신장비/5G 테마들도 하락. 해운 테마는 정부의 해운산업 지원 소식에 장 초반 상승하기도 했으나 하락 전환하며 거래를 마감. 이 외에 일자리(취업), 키오스크, 구충제(펜벤다졸 등), 시멘트/레미콘, 줄기세포, 전기차 등의 테마가 하락률 상위를 기록.
▷반면, 정부의 부인에도 불구하고, 北 김정은 위원장의 신변이상설 지속 등으로 방위산업/전쟁 및 테러 테마가 상승했고, 정부의 마스크 해외 반출 예외적 허용 소식 등에 일부 마스크 테마도 상승.
- 방위산업/전쟁 및 테러 -
北 김정은 신변 이상설 지속 등에 상승.
▷최근 일부 외신이 북한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수술 후 심각한 위험에 처한 상황이라고 보도한 가운데, 전일 국내에서 김정은 위원장 동향 관련 추측성 보도가 전해지면서 김정은 신변 이상설이 재차 부각되는 모습.
▷이러한 소식에 스페코, 퍼스텍, 휴니드, LIG넥스원 등 방위산업/전쟁 및 테러 테마가 상승.
▷한편, 청와대는 해당 소식과 관련해 23일 국가안전보장회의(NSC) 상임위원회를 개최해 현재 북한 내부에 특이 동향이 없음을 확인했다고 밝힘. 또한, 美 트럼프 대통령은 현지시간 23일 해당 외신 보도에 대해 부정확하다고 밝히면서 김정은이 의료적 문제를 겪고 있지 않기를 바란다고 언급함.
- 마스크 -
정부, 마스크 해외반출 예외적 허용 소식에 일부 관련주 상승.
▷정세균 국무총리는 금일 코로나19 대응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회의를 통해 "마스크 수급은 공적마스크 5부제가 정착되면서 많이 안정됐고, 앞으로 경제활동이 증가하면 마스크가 더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고 밝힘. "향후 마스크 수급상황을 예의주시하면서, 국민적 공감대가 형성된 수요처에 대한 해외반출은 국내 공급에 문제가 없는 범위 내에서 예외적으로 허용토록 하겠다"고 밝힘.
▷이 같은 소식에 모나리자, 케이엠, 웰크론, 깨끗한나라 등 일부 마스크 테마가 상승.
- 자동차 대표주 -
주요 자동차 업체 1분기 실적 부진 등에 하락.
▷기아차는 금일 1분기 실적을 발표. 20년1분기 연결기준 매출액 14.56조원(전년동기대비 +17.05%), 영업이익 4,444.56억원(전년동기대비 -25.18%), 순이익 2,659.69억원(전년동기대비 -59.02%).
▷현대모비스도 금일 1분기 실적을 발표. 20년1분기 연결기준 매출액 8.42조원(전년동기대비 -3.60%), 영업이익 3,608.98억원(전년동기대비 -26.90%), 순이익 3,488.36억원(전년동기대비 -28.19%).
▷현대차도 전일 1분기 실적을 발표. 20년1분기 연결기준 매출액 25.31조원(전년동기대비 +5.55%), 영업이익 8,637.76억원(전년동기대비 +4.71%), 순이익 5,526.82억원(전년동기대비 -42.05%)
▷IBK투자증권은 현대차에 대해 2분기 코로나19에 따른 해외공장 셧다운 영향이 본격적으로 반영되면서 부진한 실적이 불가피해 보인다고 설명. 다만, 5월 전후로 일부 지역에서 셧다운과 락다운이 완화되는 점을 감안할 때 하반기 생산과 소비 회복 속도를 확인하며 주가는 반등 기회를 찾을 것이라고 분석.
▷이 같은 소식에 현대모비스, 현대차, 기아차, 만도 등 자동차 대표주 및 자동차부품주들이 하락.
- 반도체 관련주 -
美 인텔 2분기 실적 부진 전망 등에 하락.
▷현지시간으로 23일 美 인텔이 1분기 실적을 발표. 1분기 매출액은 198.30억 달러로 전년 대비 23% 증가했고, 시장 전망치를 상회. 주당 순이익 역시 1.45달러를 기록해 시장 전망치를 상회. 그러나 코로나19 여파 등으로 2분기 주당 순이익이 1.10달러를 기록할 것으로 전망. 이는 시장 전망치인 1.19달러를 하회하는 수준임. 아울러, 하반기에는 기업과 정부 고객의 수요가 줄어들 것이라고 예상했으며, 사업 불확실성 등으로 인해 올해 연간 실적 가이던스를 내놓지 않겠다고 발표. 이에 인텔의 주가는 시간 외에서 6% 하락.
▷전일 IC인사이츠에 따르면, 최근 보고서를 통해 올해 세계 반도체 출하량이 전년 대비 3% 줄어들 것으로 전망. 지난해 출하량이 18년 대비 6% 감소한데 이어 사상 처음으로 2년 연속 감소를 기록할 것으로 전망.
▷이와 관련, 금일 삼성전자, SK하이닉스, 피에스케이, 유니테스트, 주성엔지니어링, 에프엔에스테크 등 반도체 관련주들이 하락.
[특징 종목]
- 코스피시장 -
에이프로젠 그룹주 : 에이프로젠 그룹 합병 결정에 상한가.
▷에이프로젠 KIC는 경영자원의 통합을 통한 시너지효과 창출, 사업 경쟁력 강화, 경영 효율성 제고 및 기업지배구조 개선을 통한 기업가치 극대화를 위해 에이프로젠 및 에이프로젠헬스케어앤게임즈를 흡수합병한다고 공시.
▷합병비율은 에이프로젠 KIC : 에이프로젠 = 1:16.3751883, 에이프로젠 KIC : 에이프로젠헬스케어앤게임즈 = 1:0.3395278이며, 합병기일은 2020년10월6일임.
▷이러한 소식에 에이프로젠 그룹주인 에이프로젠 KIC, 에이프로젠 H&G, 에이프로젠제약이 상한가 마감.
[종목] : 에이프로젠제약, 에이프로젠 KIC, 에이프로젠 H&G
STX엔진(077970) : 노르웨이 법인 청산절차 진행에 따른 경영정상화 기대감에 상한가.
▷일부 언론에 따르면, 동사가 지분을 보유하고 있는 노르웨이 법인인 STX노르웨이AS가 현재 청산절차를 진행하고 있으며 관련한 법적절차가 완료되면 잔여재산 분배금액을 수익으로 인식할 예정으로 알려짐. 분배금액은 최대 300억원에 달할 수 있으며, 이는 경영정상화에 큰 도움이 될 것 전해짐.
티탑스(030790) : 최대주주 변경 속 강세.
▷최대주주가 라임자산운용 및 포트코리아자산운용에서 와이퀸텟주식회사로 변경. 변경사유는 제3자 배정 유상증자 납입완료에 따른 최대주주 변경. 변경후 최대주주 와이퀸텟주식회사의 소유비율은 25.70%임.
삼진제약(005500) : 항당뇨제 "포시가", 코로나19 환자 대상 글로벌 임상 3상 시험 돌입 소식에 강세.
▷금일 일부 언론에 따르면, 아스트라제네카와 美 미드아메리카 심장연구소(MAHI)가 코로나19 입원환자들을 대상으로 항당뇨제 '포시가'의 잠재적 효능을 평가하기 위한 피험자 무작위 분류, 글로벌 임상 3상 시험에 돌입했다고 전해짐. 이와 관련, 이번 임상의 목표는 포시가가 심혈관계 질환과 대사계 또는 신장에 위험요인을 동반한 환자들이 코로나19 감염으로 인한 위험성을 감소시킬 수 있을 것인지 평가하는 것으로 알려짐.
▷이 같은 소식에 이달 초 'SGLT-2' 계열 당뇨병 치료제 포시가를 겨냥한 제네릭 허가를 받은 바 있는 동사가 시장에서 부각.
송원산업(004430) : 1분기 실적 호조에 상승.
▷20년1분기 연결기준 매출액 2,105.43억원(전년동기대비 +10.56%), 영업이익 180.69억원(전년동기대비 +31.29%), 순이익 111.82억원(전년동기대비 +27.40%).
HSD엔진(082740) : 1분기 흑자전환에 소폭 상승.
▷20년1분기 연결기준 매출액 2,159억원(전년동기대비 +112.41%), 영업이익 101.52억원(전년동기대비 흑자전환), 순이익 56.09억원(전년동기대비 흑자전환).
LG디스플레이(034220) : 2분기 실적 부진 지속 전망 등에 하락.
▷하이투자증권은 동사에 대해 2분기 실적 부진이 이어질 것으로 전망. 이는 LCD TV 패널 가격 하락과 중국 광저우 OLED 공장 가동으로 인한 감가상각비 등 때문이라고 밝힘. 2분기 매출액과 영업손실은 각각 4.9조원(전년동기대비 -8%), 3,830억원(전년동기대비 적자지속)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
▷한편, 1분기 영업손실은 3,620억원을 기록해 컨센서스에 부합했다고 밝힘. 다만, 코로나19 사태와 계절적 비수기 영향으로 인해 TV 수요 부진이 겹치면서 매출 감소폭이 컸다고 분석.
▷투자의견 : BUY[유지], 목표주가 : 15,000원 -> 13,500원[하향]
삼성에스디에스(018260) : 1분기 실적 부진 등에 하락.
▷SK증권은 동사에 대해 1분기 매출액과 영업이익이 각각 2조4,361억원(전년동기대비 -2.7%), 1,712억원(전년동기대비 -13.7%)을 기록해 기대치를 하회했다고 밝힘. 이는 코로나19의 영향으로 기업의 IT투자가 지연됨에 따라 IT 서비스 부문 매출과 영업이익이 감소했기 때문이라고 밝힘.
▷코로나19 영향으로 고객사 IT투자가 지연되는 가운데, 그 영향이 글로벌로 확대됨에 따라 2분기 물류부문에서의 영향도 불가피할 것으로 전망. 다만, 코로나19로 인한 클라우드 사업, 언택트 솔루션 등에서는 기회요인이 있을 수 있다고 분석.
▷투자의견 : 매수[유지], 목표주가 : 250,000원 -> 200,000원[하향]
현대건설(000720) : 1분기 영업이익 부진에 하락.
▷20년1분기 연결기준 매출액 4.05조원(전년동기대비 +4.67%), 영업이익 1,653.47억원(전년동기대비 -19.42%), 순이익 1,965.40억원(전년동기대비 +25.99%).
HDC현대산업개발(294870) : 아시아나항공 인수 재검토 필요 전망 속 하락.
▷케이프투자증권은 동사에 대해 전년과 매우 달라진 상황에서 아시아나항공 인수 여부를 재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전망. 이와 관련 아시아나항공은 코로나19 장기화로 경영난이 심각해지면서 자금 수혈이 필요한 상황이라고 설명.
▷이어 기업가치 제고를 위한 기업의 현명한 결정이 필요한 시점이라며, 인수 포기나 인수 조건을 변경하지 않는 한 동사의 투자의견을 유지한다고 밝힘.
▷투자의견 : Hold[유지], 목표주가 : 24,000원 -> 19,000원[하향]
파미셀/비씨월드제약 : 렘데시비르 코로나19 임상 실패설에 약세.
▷23일(현지시간) 파이낸셜타임스에 따르면, 세계보건기구의 보고서 초안을 입수해 확인한 결과 길리어드 사이언스가 중국에서 진행한 무작위 1차 임상시험이 실패로 끝났다고 전해짐. 이와 관련, 158명에게 이 약을 투여한 다음 병세의 경과를 나머지 79명과 비교했지만 렘데시비르가 환자의 상태를 호전시키거나 혈류에서 병원체의 존재를 감소시키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 중 18명의 환자에게선 부작용까지 나타난 것으로 알려짐.
▷이 같은 소식에 렘데시비르의 원료인 ' 뉴클레오시드'를 생산하고 있는 파미셀이 급락 마감했으며, 신규한 뉴클레오시드 유도체 관련 특허권을 보유하고 있는 비씨월드제약이 소폭 하락 마감.
▷다만, 길리어드 사이언스는 성명을 통해 해당 보도가 부적절한 연구 특성을 포함하고 있으며, 연구는 낮은 참여로 인해 조기에 종료돼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결론에 이르지 못했다고 언급.
[종목] : 파미셀, 비씨월드제약
- 코스닥시장 -
아미코젠(092040) : 바이오의약품 배지 국산화 국책과제 선정 소식에 강세.
▷동사는 언론을 통해 산업통상자원부 국책과제 바이오의약품 생산용 배지 국산화 사업에 지원해 최종 선정되었다고 밝힘. 해당 과제는 바이오의약품 생산에 사용되는 맞춤형 세포배양 배지를 개발하고 상용화하기 위한 것으로 동사를 포함한 4개 기업이 컨소시엄으로 구성될 것으로 알려짐.
그린플러스(186230) : 스마트팜 혁신 밸리 조성 수혜 기대감에 소폭 상승.
▷한국투자증권은 동사에 대해 정부의 스마트팜 혁신 밸리 조성의 수혜주라고 밝힘. 현재 전국 4곳에서 스마트팜 혁신 밸리가 조성중인 가운데 동사는 상주 스마트팜 건설에 설비를 납품한 바 있으며, 고흥과 밀양 온실 설계에 참여하고 있어 향후 실제 건설 입찰에서 추가 설비 납품이 예상된다고 밝힘.
▷또한, 정부의 스마트팜 혁신 밸리 외에도 장기적으로 스마트팜 수요가 증가함과 농업환경이 열악한 나라로의 수출도 가능해 장기적 성장이 전망된다고 밝힘.
멕아이씨에스(058110) : 69.17억원 규모 인공호흡기 공급계약 체결에 소폭 상승.
▷Flogiston-MED Ltd.와 69.17억원(최근 매출액대비 53.77%) 규모 공급계약(인공호흡기) 체결(계약기간:2020-04-23~2020-08-28)
큐로컴(040350) : 자회사 스마젠 등 캐나다 정부로부터 코로나19 백신 연구개발비 지원 대상 선정 소식에 소폭 상승.
▷동사는 금일 홈페이지를 통해 자회사 스마젠 캐나다 연구소의 강칠용 박사 연구팀이 캐나다 정부로부터 '코로나 19' 백신에 대해 연구지원을 받기로 결정되었다고 밝힘. 이와 관련, 이번 팬데믹 사태로 번진 '코로나 19'에 대항하기 위하여 캐나다 정부는 긴급자금을 출연하였으며, 이 중 캐나다 보건원에서 100만 달러 규모의 연구개발비를 강칠용 박사팀에게 지원하기로 했다고 덧붙임.
칩스앤미디어(094360) : 1분기 적자전환에 하락.
▷전일 장 마감 후 실적발표, 20년1분기 연결기준 매출액 25.36억원(전년동기대비 -20.37%), 영업손실 5.30억원(전년동기대비 적자전환), 순손실 0.85억원(전년동기대비 적자전환). 이와 관련, 동사는 코로나19로 인한 라이선스 계약 감소 등에 적자전환했다고 밝힘.
안트로젠(065660) : 120억원 규모 사모 CB발행 결정에 하락.
▷전일 장 마감 후 운영자금 확보 목적으로 네오플럭스Market-Frontier 세컨더리펀드 등 대상 120억원 규모의 사모 전환사채권 발행 결정(전환가액:36,550원, 전환청구일:2021-04-23~2023-03-24).
레이(228670) : 1분기 실적 부진에 하락.
▷20년1분기 연결기준 매출액 123.38억원(전년동기대비 -8.34%), 영업이익 6.44억원(전년동기대비 -37.77%), 순이익 17.51억원(전년동기대비 +81.07%).
RFHIC(218410) : 1분기 실적 부진에 약세.
▷전일 장 마감 후 실적발표, 20년1분기 연결기준 매출액 205.97억원(전년동기대비 -40.80%), 영업이익 17.62억원(전년동기대비 -77.19%), 순이익 25.07억원(전년동기대비 -66.21%).
[특징 상한가 및 급등주]
린드먼아시아(277070) : 에이프로젠 그룹 합병 결정 속 에이프로젠 투자사실 부각에 상한가
에이프로젠 KIC(007460) : 에이프로젠 그룹 합병 결정에 상한가
STX엔진(077970) : 노르웨이 법인 청산절차 진행에 따른 경영정상화 기대감에 상한가
에이프로젠 H&G(109960) : 에이프로젠 그룹 합병 결정에 상한가
에이프로젠제약(003060) : 에이프로젠 그룹 합병 결정에 상한가
스페코(013810) : 北 김정은 신변 이상설 지속 등에 방위산업/전쟁 및 테러 테마 상승 속 급등
파수(150900) : 데이터3법 통과 및 재택근무 확산 수혜 기대감 지속에 급등
대웅(003090) : 니클로사마이드, 코로나19 치료 효과 모멘텀 지속에 급등
동일고무벨트(163560) : 김세연 의원 차기 부산시장 후보 거론에 급등
W홀딩컴퍼니(052300) : 에이프로젠 그룹 합병 결정 속 에이프로젠 KIC 전환사채 보유사실 부각되며 급등
바이넥스(053030) : 코로나19 백신 개발 기대감 재부각에 급등
휴니드(005870) : 北 김정은 신변 이상설 지속 등에 방위산업/전쟁 및 테러 테마 상승 속 급등
에스맥(097780) : 에이프로젠 그룹 합병 결정 속 에이프로젠 및 에이프로젠 H&G 지분 보유사실 부각에 급등
한일단조(024740) : 北 김정은 신변 이상설 지속 등에 방위산업/전쟁 및 테러 테마 상승 속 급등
퍼스텍(010820) : 北 김정은 신변 이상설 지속 등에 방위산업/전쟁 및 테러 테마 상승 속 급등
한진칼(180640) : 대한항공, 산은·수은 1조 이상 지원 기대감 속 급등
랩지노믹스(084650) : 코로나19 진단키트 FDA 승인 기대감 지속 및 동사 검사센터, 질병관리본부 조직적합성검사 최우수 검사기관 선정 모멘텀 지속에 급등
부산가스(015350) : 보유중인 중국 민영 가스업체(CGH) 지분 매각 기대감 속 급등
'주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0년 4월 24일 주간상승률 TOP30 공개용(관리종목, 우선주 제외) (0) | 2020.04.24 |
---|---|
2020년 4월 24일 상승률 TOP30 공개용(관리종목, 우선주 제외) (0) | 2020.04.24 |
2020년 4월 24일 주요신문 헤드라인 (0) | 2020.04.24 |
2020년 4월 24일 전일 장마감 주요종목 공시 (0) | 2020.04.24 |
2020년 4월 24일 금요일 개장전 (0) | 2020.04.2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