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식

2020년 5월 19일 화요일 마감시황

by 신동1104 2020. 5. 19.

[마감 시황]


- 코스피시장 -

5/19 KOSPI 1,980.61(+2.25%) 코로나19 백신 개발 기대감(+), 국제유가 연일 급등(+), 외국인/기관 동반 순매수(+)

밤사이 뉴욕증시가 코로나19 백신 기대 등에 급등했으며, 유럽 주요국 증시도 동반 급등. 이날 코스피지수 역시 1,977.47(+40.36P, +2.08%)로 급등 출발. 장초반 1,980선을 회복하기도 했지만, 이내 상승폭을 반납했고 오전 중 1,968.59(+31.48P, +1.63%)에서 장중 저점을 형성. 이후 1,970선 초중반대에서 강세 흐름을 이어가던 지수는 재차 상승폭을 키우며 오후 장중 1,983.77(+46.66P, +2.41%)에서 고점을 형성. 이후 1,980선을 중심으로 강세 흐름을 이어간 끝에 결국 1,980.61(+43.50P, +2.25%)로 장을 마감. 전일(현지시간) 美 바이오기업 모더나가 코로나19 백신 후보 1차 임상시험 결과 참가자 전원에서 항체가 형성됐다고 발표하면서 코로나19 백신 개발 기대감이 증시에 호재로 작용. 中 양회 기대감이 지속되고 있는데다 국제유가가 연일 급등세를 이어간 점도 긍정적으로 작용. 외국인과 기관은 동반 순매수하면서 지수 상승을 이끌었음. 특히, 반도체를 비롯해 그 동안 증시에서 소외되던 자동차, 금융, 산업재, 에너지, 철강 대형주들의 강세가 두드러짐. 
한편, 이날 코스피지수는 1,980선을 회복하며 종가기준 지난 3월6일 이후 최고치를 기록. 

중국, 일본, 대만, 홍콩 등 아시아 주요국 증시도 일제히 상승. 

수급별로는 외국인과 기관이 각각 3,360억, 8,421억 순매수, 개인은 1조1,863억 순매도. 선물시장에서는 개인과 기관이 각각 1,506계약, 5,784계약 순매수, 외국인은 6,393계약 순매도.

이날 원/달러 환율은 전거래일 대비 7.1원 하락한 1,225.3원을 기록.

국고채 3년물 금리는 전거래일 대비 1.1bp 하락한 0.876%, 10년물은 전거래일 대비 0.3bp 하락한 1.391%를 기록.

3년 국채선물은 전거래일 대비 3틱 상승한 112.05로 마감. 금융투자와 외국인이 2,847계약, 736계약 순매수, 은행은 3,524계약 순매도. 10년 국채선물은 전거래일 대비 2틱 하락한 133.53으로 마감. 금융투자가 1,471계약 순매도, 외국인은 1,930계약 순매수.

코스피 시총상위종목들은 대부분 종목이 상승. 현대차(+7.83%), 현대모비스(+7.80%), 기아차(+8.01%) 등 자동차 대표주들이 큰 폭으로 상승했고, POSCO(+5.33%), 신한지주(+5.18%), 삼성물산(+3.87%), 삼성전자(+3.07%), SK하이닉스(+1.97%), SK텔레콤(+1.70%), 삼성SDI(+1.28%), 한국전력(+1.16%) 등이 상승. 반면, LG생활건강(-1.39%), NAVER(-0.70%), 카카오(-0.45%) 등은 하락. 셀트리온은 보합. 

업종별로도 대부분 업종이 상승. 운수장비(+6.77%), 운수창고(+4.84%), 철강금속(+3.99%), 증권(+3.64%), 은행(+3.60%), 기계(+3.32%) 업종의 강세가 두드러졌으며, 유통업(+2.73%), 전기전자(+2.70%), 건설업(+2.63%), 금융업(+2.60%), 제조업(+2.43%), 의료정밀(+2.26%), 화학(+2.13%) 업종 등이 큰 폭 상승. 반면, 음식료업(-2.25%), 종이목재(-0.64%), 의약품(-0.34%) 업종만 하락. 

마감 지수 : KOSPI 1,980.61P(+43.50P/+2.25%)



- 코스닥 시장 -

5/19 KOSDAQ 696.36(+0.80%) 코로나19 백신 개발 기대감(+), 개인/외국인 동반 순매수(+)

밤사이 뉴욕증시가 코로나19 백신 기대 등에 급등한 가운데, 이날 코스닥지수는 696.01(+5.16P, +0.75%)로 상승 출발. 장초반 급격히 상승폭을 반납한 지수는 보합권에서 등락을 보이다 하락세로 방향을 잡은 뒤 오전 중 687.67(-3.18P, -0.46%)에서 장중 저점을 형성. 이후 점차 낙폭을 축소했고, 오전 장 후반 상승 전환에 성공. 오후 들어 장 마감까지 점차 상승폭을 키운 지수는 결국 장중 고점인 696.36(+5.51P, +0.80%)으로 장을 마감. 코로나19 백신 개발 기대감이 커진 가운데, 개인과 외국인이 동반 순매수하면서 지수 상승을 이끌었음. 

수급별로는 개인과 외국인이 각각 1,658억, 148억 순매수, 기관은 1,507억 순매도.

코스닥 시총상위종목들은 상승 종목이 우세. 파라다이스(+11.03%)와 알테오젠(+10.96%)이 급등한 것을 비롯해 원익IPS(+4.27%), CJ ENM(+2.86%), 메지온(+2.44%), 에이치엘비(+2.03%), 휴젤(+1.33%), SK머티리얼즈(+0.72%), 케이엠더블유(+0.69%), 스튜디오드래곤(+0.66%), 펄어비스(+0.20%), 셀트리온헬스케어(+0.11%) 등이 상승. 반면, 씨젠(-7.92%), 헬릭스미스(-2.03%), 컴투스(-1.26%), 셀트리온제약(-0.95%) 등은 하락. 

업종별로도 상승 업종이 우세. 오락/문화(+5.52%), 비금속(+3.11%), 방송서비스(+2.79%), 건설(+2.54%), 정보기기(+2.44%), 기타 제조(+2.38%), 기계/장비(+2.26%), 운송장비/부품(+2.16%), 금속(+2.05%), 반도체(+1.92%), 종이/목재(+1.89%), IT 부품(+1.88%), 통신방송서비스(+1.79%) IT H/W(+1.77%) 업종 등이 큰 폭 상승. 반면, 인터넷(-2.55%), 소프트웨어(-1.82%), 의료/정밀 기기(-1.48%), 제약(-1.43%), 통신서비스(-1.21%), IT S/W & SVC(-1.12%) 업종 등은 하락. 

마감 지수 : KOSDAQ 696.36P(+5.51P/+0.80%)


 

[특징 테마]


- 테마시황 -

▷금일 증시가 코로나19 백신 개발 기대감 등으로 상승한 가운데, 대부분의 테마가 상승. 특히, 코로나19 백신 개발 기대감 등에 여행/항공/저가 항공사(LCC)/카지노/면세점 등 테마가 상승. 아울러 경제 활동 재개 기대감 등으로 국제유가가 급등한 영향으로 정유/LPG/석유화학/조선 테마도 상승. 자동차 수요 회복 전망 등에 자동차 대표주/자동차부품 테마도 상승했으며, 산업부의 수소차 5만대분 수소추출시설 구축 사업 대상 선정 소식에 수소차 테마도 상승.

▷또한, TSMC의 화웨이 수주 중단에 따른 반사이익 기대감에 갤럭시 부품주가 상승했으며, 코로나19 영향 속 콘텐츠 부문 안정적 성장세 전망 등에 엔터테인먼트 테마도 상승. 코로나19 백신 개발 기대감 속 美 증시 급등에 따른 국내 증시 강세 등에 증권 테마도 상승했으며, 한은의 디지털화폐 검토 본격화 소식 속 화폐/금융자동화기기 테마도 상승. 이 외 키오스크, LCD BLU제조, 은행, 전력저장장치(ESS), MLCC 테마 등이 상승률 상위를 기록.

▷반면, 美 바이오업체 모더나의 코로나19 백신 개발 기대감 부각 속 차익실현 매물 출회 등에 코로나19/백신/진단시약/방역(신종플루, AI 등) 테마가 하락했으며, 대한의사협회의 비대면진료 반대 본격화에 일부 U-Healthcare(원격진료) 테마도 하락. 이 외 재택근무/스마트워크, 구충제(펜벤다졸 등), 유전자 치료제/분석, 손해보험, 전자결제 테마 등이 하락률 상위를 기록.


- 여행/항공/저가 항공사(LCC)/카지노 등 -

코로나19 백신 개발 기대감 등에 상승.

▷美 바이오 업체 모더나는 18일(현지시간) 성인 남녀 45명을 대상으로 진행된 코로나19 백신 후보 'mRNA-1273' 1차 임상시험 결과, 참가자 전원에서 항체가 형성됐다고 밝힘. 이어 오는 7월 3차 임상을 시작할 수 있다고 언급했음. 이에 시장에서는 코로나19 백신에 대한 기대감이 커지는 모습. 지난밤 美 증시에서 델타항공(+13.91%), 아메리칸 항공 그룹(+9.18%), 유나이티드 에어라인 홀딩스(+21.13%) 등 항공주들이 급등 마감. 

▷이 같은 소식에 노랑풍선, 하나투어, 파라다이스, 제주항공, 티웨이항공, 호텔신라 등 여행, 카지노, 항공/저가 항공사(LCC), 면세점 테마가 상승 마감.

▷반면, 랩지노믹스, 수젠텍, 바디텍메드, 씨젠 등 코로나19/백신/진단시약/방역(신종플루, AI 등) 테마가 차익실현 매물이 출회되며 하락 마감했음.


- 정유/LPG(액화석유가스)/석유화학/조선 -

경제 활동 재개 기대감 등으로 국제유가 급등, 30달러 회복에 상승.

▷지난밤 국제유가는 원유 수요 회복 기대감 등에 급등하며 30달러선을 회복하는 모습을 보였음. 미국 대부분의 주가 봉쇄 완화에 돌입한 가운데, 이탈리아가 6월3일부터 해외 여행객의 입국을 허용할 예정. 이에 글로벌 경제 활동 재개에 따른 원유 수요 회복 기대감이 커지는 모습. 서부 텍사스산 원유(WTI) 6월 인도분 가격은 전거래일보다 2.39달러(+8.12%) 상승한 31.82달러에 거래를 마감.

▷이 같은 소식에 S-Oil, SK이노베이션, 대한유화, 한국조선해양 등 정유/LPG(액화석유가스)/석유화학/조선 테마가 상승 마감.


- 자동차 대표주/자동차부품 -

자동차 수요 회복 전망 등에 상승.

▷삼성증권은 자동차 산업에 대해 상반기 '피해주'에서 하반기 '회복주'로 기대된다고 언급. 전일(현지시간) 미국에서 백신 개발 가능성이 보도된 가운데, 올해 3분기 일상생활 복귀 및 자동차 수요회복 가능성이 높아지면서 유럽 및 미국 자동차주식이 폭등했다고 밝힘.

▷이어 현대/기아차는 신차싸이클 중간에 위치하고 있어, 3분기 V-shape 수요회복 가시성이 높아진 상황에서 가장 공장회복 가동률이 빠를 업체라고 밝힘. 또한, 현대차는 글로벌 업체 중 중국을 제외하면 신흥시장 판매비중이 가장 높으며, 기아차는 인도시장 정상화의 수혜주라고 밝힘.

▷한편, 18일(현지시간) 외신에 따르면 제너럴모터스(GM), 포드, 피아트크라이슬러 오토모빌스(FCA) 등 미국 대형 자동차 업체 3곳이 북미 지역에서 약 2달 만에 공장 부분 재가동을 시작한 것으로 전해짐.

▷이 같은 소식에 현대차, 기아차, 현대위아, 현대모비스 등 자동차 대표주/자동차부품 테마가 상승 마감.


- 수소차 -

산업부, 수소차 5만대분 수소추출시설 구축 사업 대상 선정 소식에 상승.

▷산업통상자원부는 금일 수소차 5만대분의 수소를 확보할 수 있는 '수소추출시설 구축사업'의 지원 대상을 선정했다고 밝힘. 소규모 수소추출시설은 부산, 대전, 강원도 춘천 등 총 3개 지역, 중규모 수소추출시설은 광주광역시, 경남 창원 등 총 2개 지역을 각각 선정했으며, 이는 정부가 지난해 1월 발표한 '수소경제 활성화 로드맵'에 따른 것으로 알려짐.

▷이와 관련 산업부 관계자는 "앞으로 정부는 수소차·버스의 확산 및 수소충전소 구축 등에 맞춰 수소추출시설을 지속적으로 확대할 예정이라며, 국민 불편 없는 수소 모빌리티 인프라를 조기 구축해 글로벌 수소경제 선도국가로 도약하기 위해 적극 노력하겠다"고 언급.

▷이 같은 소식에 효성중공업, 삼화전자, 에스에너지 등 수소차 테마가 상승 마감.


- 갤럭시 부품주 -

TSMC, 화웨이 수주 중단에 따른 반사이익 기대감에 상승.

▷NH투자증권은 보고서를 통해 전일 언론이 '파운드리 1위 업체 TSMC가 미국 정부의 대 중국 규제에 맞추어 화웨이로부터 신규 수주를 중단했다'고 보도했다며, 이번 조치로 향후 화웨이가 자사 AP와 모뎀칩을 탑재한 스마트폰을 제조하기 힘들 것이라고 분석.

▷화웨이의 스마트폰 제조 차질로 인해 삼성전자 스마트폰의 반사 수혜가 가능할 것이라며, 특히 2019년 미중 무역분쟁으로 인해 화웨이의 유럽 점유율이 낮아지고 삼성전자의 점유율이 올라갔던 사례가 있었다고 밝힘. 이와 관련, 삼성전기, 파트론, 엠씨넥스 등 삼성전자향 매출 비중이 높은 업체들의 수혜가 기대된다고 밝힘.

▷이에 금일 코리아써키트, 엠씨넥스, 뉴프렉스, 인터플렉스 등 갤럭시 부품주가 상승 마감.


- 엔터테인먼트 -

코로나19 영향 속 콘텐츠 부문 안정적 성장세 전망 등에 상승.

▷KTB투자증권은 보고서를 통해 코로나19 영향으로 매출 비중이 높은 콘서트 수익에 대한 우려가 업종 전반적으로 확산된 가운데, 기획사들의 콘텐츠 관련 매출은 안정적으로 성장 중이라고 밝힘. 특히, 대면 활동이 어려운 상황에서 IP를 활용한 수익의 성장세가 높을 것으로 전망.

▷아울러 언론에 따르면, 세계 각국이 코로나19 확산에 따른 봉쇄를 완화하고 경제 활동 재개에 시동을 걸고 있는 가운데, 한한령 해제 기대감도 지속되고 있다고 전해짐.

▷이 같은 소식에 JYP Ent., 와이지엔터테인먼트, 에스엠, 제이콘텐트리 등 엔터테인먼트 테마가 상승 마감.


- 증권 -

코로나19 백신 개발 기대감 속 美 증시 급등에 따른 국내 증시 강세 등에 상승.

▷지난밤 美 증시가 코로나19 백신 개발 기대 및 글로벌 경제 재개 기대감 지속 등으로 급등 마감. 아울러, Fed의 경기 부양 지의와 수요회복 기대감 등에 따른 국제유가 급등 등도 호재로 작용. 이에 금일 코스피 시장도 외국인/기관의 동반 순매수 속에 큰 폭으로 상승했으며, 코스닥시장도 개인/외국인 순매수 등으로 상승 마감했음.

▷이에 금일 한국금융지주, 미래에셋대우, NH투자증권, 키움증권 등 증권주가 상승 마감.


- U-Healthcare(원격진료) -

대한의사협회, 비대면진료 반대 본격화에 일부 관련주 하락.

▷대한의사협회는 전일 의사 회원들에게 보내는 권고문을 통해 "정부가 코로나19 사태를 빌미로 원격진료와 비대면 진료의 제도화를 추진하고 있다"며, "이날부터 전화 상담과 처방의 전면 중단을 회원 여러분께 권고드린다"고 밝힘. 이어 "앞으로 일주일간 권고 사항의 이행 정도를 평가한 뒤 비대면 진료 저지를 위한 조치를 추진해 나갈 것"이라며, "정부의 일방적인 정책 추진에 대한 협회의 투쟁에 적극적으로 동참해달라"고 덧붙임.

▷이 같은 소식에 유비케어, 나노엔텍, 뷰웍스, 인성정보 등 일부 U-Healthcare(원격진료) 테마가 하락 마감.

▷한편, 정부는 의협의 반발에도 불구하고 "비대면 의료는 앞으로 있을지 모르는 (코로나19)2차 대유행에 대비하기 위한 것"이라고 밝히며, 비대면 의료를 차질없이 준비해나가겠다고 밝혔음.

 

[특징 종목]

- 코스피시장 -

한라홀딩스(060980) : 주요 자회사 실적 개선 기대감 등에 급등.
▷이베스트투자증권은 동사에 대해 주요 자회사들의 실적 개선이 1분기를 기점으로 확인되었다며, 2분기에도 실적 개선이 지속될 것으로 전망. 이에 동사의 점진적 기업가치 회복이 기대된다고 밝힘.
▷한편, 1분기 매출액과 영업이익은 각각 1,795억원(전년동기대비 -7.9%), 174억원(전년동기대비 +3.6%)을 기록해 시장 컨센서스를 상회했으며, 이는 만도를 제외한 대부분의 자회사 실적이 선방했기 때문이라고 밝힘.
▷투자의견 : BUY[유지], 목표주가 : 40,000원[유지]

파미셀/에이비프로바이오 : 美 모더나 코로나19 백신 개발 기대감에 시장에서 부각되며 상승.
▷美 바이오 업체 모더나는 전일(현지시간) 성인 남녀 45명을 대상으로 진행된 코로나19 백신 후보 'mRNA-1273' 1차 임상시험 결과에서 참가자 전원이 항체가 형성됐다고 밝힘. 모더나는 美 FDA의 2상 임상시험 승인에 따라 곧 600명을 대상으로 시험을 시작할 예정이며, 7월에는 3상 임상시험을 시작할 계획임.
▷이 같은 소식 속 바이러스 진단키트에 쓰이는 유전자 진단시약의 주원료 '뉴클레오시드'를 생산하는 파미셀과 모더나의 창립 멤버로 알려진 ROBERT SAMUEL LANGER 교수가 사내이사로 있는 에이비프로바이오가 금일 시장에서 부각.
▷한편, 파미셀은 Thermo Fisher Scientific와 18.03억원(최근 매출액대비 5.55%) 규모 공급계약(의약중간체 뉴클레오시드(Nucleoside)) 체결(계약기간:2020-05-19~2020-09-11).
[종목] : 파미셀, 에이비프로바이오



- 코스닥시장 -

피델릭스(032580) : 中 SMIC와 전략적 제휴 사실 부각에 상한가.
▷현지시간 15일 美 상무부가 中 화웨이에 미국 기술로 제작된 반도체를 공급받지 못하도록 관련 규제를 강화한다고 밝힌 가운데, 중국 정부는 반도체 자급을 위해 중국 내 파운드리 업체인 SMIC에 4조원을 투자한다고 밝힘. 이에 SMIC와 플래시 메모리 분야에서 전략적 제휴를 맺고 있는 동사가 시장에서 부각되는 모습.
▷1분기 분기보고서에 따르면 플래시메모리 부문에서 동사는 SMIC와 전략적 제휴 계약을 체결해 현재 65nm, 38nm process에서 양산을 하고 있으며, 2xnm process 공정 개발도 협력하고 있음.

삼영이엔씨(065570) : 경영권 분쟁 소송 속 급등.
▷전일 장 마감 후 황송무씨가 주주총회결의부존재확인 소송을 제기했다고 공시. 회사 측은 "소송대리인을 통해 법적인 절차에 따라 대응할 예정"이라고 밝힘.

하나머티리얼즈(166090) : 2분기 사상 최대 실적 기대감 등에 급등.
▷키움증권은 동사에 대해 2분기 매출액과 영업이익이 각각 521억원(전년동기대비 +21%), 151억원(전년동기대비 +42%)으로 사상 최대치를 기록할 것으로 전망. 이는 지난해 연말과 올해초 진행됐던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전공정 장비 증설 효과가 본격적으로 반영되고, 신제품(SiC Ring)의 공급이 본격화 될 것으로 예상하기 때문이라고 밝힘.
▷2분기 말부터 SiC Ring 부문의 출하량 증가와 함께 수익성 개선이 기대된다며, 올해 실적도 매출액 2,024억원(전년대비 +31%), 영업이익 550억원(전년대비 +35%)으로 사상 최대 실적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

휴메딕스(200670) : 코로나19 신속 진단키트 수출허가 승인 소식에 강세.
▷동사는 이날 언론을 통해 전일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코로나19 신속 진단키트(Accurate Rapid COVID-19 lgM/lgG Combo Test)가 수출허가 승인을 받았다고 밝힘. 해당 진단키트는 코로나19 바이러스 감염에 의해 생성된 특이항체를 감지하며, 간단한 채혈을 통해 10~15분 내 감염 여부를 판별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짐.

천보(278280) : 배터리 소재 부문 성장성 본격화 전망 등에 상승.
▷신한금융투자는 동사에 대해 배터리 소재 부문 성장성이 긍정적이라고 밝힘. 이와 관련, CAPA 증설 효과 본격화 및 포트폴리오 다변화가 2020년 성장의 Key라고 밝힘.
▷아울러 1분기 영업이익은 72억원(-2% YoY, +3% QoQ)을 기록했다며, 고객사 수요 확대가 긍정적이라고 분석. 이에 금일 신규추천 종목으로 편입.

대원미디어(048910) : 마블 브랜드 라이선스 계약 체결에 상승.
▷동사는 금일 언론을 통해 월트디즈니 컴퍼니 코리아와 '마블' 브랜드 라이선스 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힘. 이번 계약에 따라 동사는 월트디즈니 컴퍼니 코리아와의 국내 마블 완구(피규어 등) 개발 및 유통에 대해서 우선 운영 권한을 획득하게 됐으며, 국내에서 피규어를 비롯한 마블 관련 완구 사업을 진행할 예정임.
▷이와 관련 동사 관계자는 "새로운 OTT 플랫폼인 디즈니 플러스가 국내 론칭 예정인 가운데 마블 브랜드가 큰 파급력을 가져올 것으로 전망"된다며, "완구 사업에 대한 영향력을 지속적으로 넓혀 나갈 것"이라고 언급.

브이원텍(251630) : LG전자와 15.75억원 규모 중대형 2차전지 검사시스템 공급계약 체결에 상승.
▷LG전자주식회사와 15.75억원(최근 매출액대비 5.88%) 규모 공급계약(중대형(ESS) 2차전지 검사시스템) 체결(계약기간:2020-05-19~2021-06-30).

솔트웍스(230980) : 경희대학교와 성적평가용 AI 교육 솔루션 공급 계약 체결에 상승.
▷동사는 금일 언론을 통해 경희대학교 경영학부를 대상으로 대학 성적평가용 AI 교육 솔루션 공급 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힘. 이와 관련, 동사 관계자는 "경희대학생들을 대상으로 평가부터 사후 피드백을 포함한 전방위 성적 평가에 도입되는 AI 교육 솔루션은 높은 객관성과 신뢰도를 부여하게 될 것"이라며, "최근 코로나19 사태로 온라인 수업 진행 통제나 언택트 개념의 평가가 확대 시행되고 있는 만큼 다양한 부문에서 AI 솔루션이 접목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발전시켜 갈 계획"이라고 언급.

탑엔지니어링(065130) : 총 7건의 특허권 취득에 상승.
▷전일 장 마감 후 총 7건의 특허권을 취득했다고 공시. 합착장치, 평판디스플레이 제조용 실링장치 및 실링방법, 기판 절단 장치 관련 2건, 도전 재료 도포 장치, 기판 가공 장치, 페이스트 디스펜서 관련 특허권을 취득.

지엘팜텍(204840) : 산업기술혁신사업 ATC 2단계 협약 체결 소식에 상승.
▷동사는 언론을 통해 자사 연구소가 산업통상장원부가 지원하는 산업기술혁신사업 우수기술연구센터(ATC) 2단계 협약을 체결했다고 밝힘. 동사는 지난 2018년에 '신규한 다층정 서방정제 개발기술을 활용한 개량신약 및 복합서방정제 개발'로 ATC 사업에 선정 돼 2년간 1단계 사업을 성공적으로 완료했으며, 후속으로 이번에 2단계 사업 협약을 체결한 것임. 이번 협약을 통해 3년 간 총 14억5,200만원의 연구개발비를 지원받을 예정임.

한국전자인증(041460) : 자율주행차량 통신환경(V2X) 보안인증체계 운영사업 수주 소식에 상승.
▷동사는 언론을 통해 한국도로공사가 추진하는 자율주행차량 통신환경(V2X)의 안전성 보장을 위한 V2X 보안인증체계 운영사업을 수주했다고 밝힘. 동사는 아우토크립트, 한국교통안전공단, 안랩과 컨소시엄을 구성해 해당 운영사업에 참여하는 것으로 알려졌으며, 국내 유일 글로벌인증센터를 보유한 인증기관으로 시스템을 검증하고 운영하는 역할을 담당할 것으로 전해짐.

마크로젠(038290) : 코로나19 진단키트 수출허가 승인 소식 등에 상승.
▷동사는 언론을 통해 코로나19 진단키트 'AxenTM COVID-19 RT'에 대해 전일 식품의약품안전처의 수출허가 승인을 획득했다고 밝힘. 지난달 개발한 'AxenTM COVID-19 RT'는 실시간 유전자 증폭(RT-PCR) 방식으로 코로나19 감염 여부를 2시간 내 확인할 수 있으며, 2개의 유전자(E gene, ORF1ab)를 검출하는 것으로 전해짐. 이와 관련 동사 대표는 "키트 개발 단계부터 공급 문의를 해온 주요국에 우선적으로, 빠른 시일 내에 키트를 공급할 계획"이라고 밝힘.
▷한편, 종속회사 소마젠이 美 모더나와 과거 서비스 계약 소식도 부각되며 주가에 긍정적으로 작용.

씨아이에스/명성티엔에스/파워넷 : 테슬라 中 리튬인산철 배터리 채용 확정 소식에 상승.
▷일부 언론에 따르면, 중국 산업정보기술부(MIIT)가 테슬라 ‘모델3’에 중국 CATL의 리튬인산철(LFP) 배터리(각형)가 들어간다고 공식화한 것으로 전해짐. 이는 지난 10년간 리튬이온 원통형(소형) 배터리만 고집해 온 美 테슬라가 중국에서만 생산되는 리튬인산철(LFP) 배터리 채용을 확정한 것으로, 중국 현지 업체 이외 글로벌 완성차 업계에서 리튬인산철 배터리를 채용한 건 테슬라 '모델3'가 세계 최초임.
▷이 같은 소식에 CATL 등에 부품을 납품하고 있는 씨아이에스와 중국 시장에 2차전지를 공급하고 있는 명성티엔에스, 중국 배터리 셀 전문기업인 CEL과 MOU를 체결한 바 있는 파워넷이 시장에서 부각되는 모습.
[종목] : 파워넷, 씨아이에스, 명성티엔에스

서울반도체(046890) : 美 오닉스 엔터프라이즈에 특허 소송 제기 속 상승.
▷동사는 언론을 통해 패키징(Packaging)이 필요 없는 '와이캅(WICOP)' 특허기술을 보호하고자 美 뉴저지 소재 자동차 부품 유통사인 오닉스 엔터프라이즈를 상대로 美 뉴저지 연방법원에 특허침해 소송을 제기했다고 밝힘. 소장을 통해 '카아이디'에서 판매하는 차량용 LED 제품들이 동사 및 서울바이오시스가 공동 개발한 와이캅 기술 관련 총 12개의 특허기술을 침해했다고 명시했음. '카아이디는' 오닉스가 운영하는 자동차 부품 판매점임.

세미콘라이트(214310) : 29.99억원 규모 제3자배정 유증 결정 속 약세.
▷전일 장 마감 후 운영자금 확보 목적으로 퓨전홀딩스컨소시엄(특수관계인) 등을 대상으로 3,731,342주(29.99억원) 규모 제3자배정 유상증자 결정(발행가:804원, 상장예정:2020-08-14).


 


[특징 상한가 및 급등주]

피델릭스(032580) : 中 SMIC와 전략적 제휴 사실 부각에 상한가
에이비프로바이오(195990) : 美 모더나 코로나19 백신 개발 기대감 속 모더나 창립 멤버 로버트 랭거 MIT 교수 사내이사 영입 사실 부각에 상한가
파워넷(037030) : 테슬라 中 리튬인산철 배터리 채용 확정 소식 속 中 CEL과 MOU 체결 사실 부각에 상한가
케이씨티(089150) : 한은, 디지털화폐 검토 본격화 소식 속 화폐/금융자동화기기 테마 급등
한네트(052600) : 한은, 디지털화폐 검토 본격화 소식 속 화폐/금융자동화기기 테마 급등
로지시스(067730) : 한은, 디지털화폐 검토 본격화 소식 속 화폐/금융자동화기기 테마 급등
청호컴넷(012600) : 한은, 디지털화폐 검토 본격화 소식 속 화폐/금융자동화기기 테마 급등
삼진엘앤디(054090) : 현대차 사상 첫 삼성배터리 탑재 소식 속 삼성SDI에 부품 공급 사실 부각에 급등
서진오토모티브(122690) : 자동차 수요 회복 전망 등에 자동차부품 테마 상승 속 급등
현대공업(170030) : 자동차 수요 회복 전망 등에 자동차부품 테마 상승 속 급등
현대건설기계(267270) : 中 양회를 앞두고 부양책 기대감 지속 등에 건설기계 테마 상승 속 급등
현대위아(011210) : 자동차 수요 회복 전망 등에 자동차 대표주/자동차부품 테마 상승 속 급등
만도(204320) : 자동차 수요 회복 전망 등에 자동차 대표주 상승 속 급등
삼영이엔씨(065570) : 경영권 분쟁 소송 속 급등
JYP Ent.(035900) : 코로나19 영향 속 콘텐츠 부문 안정적 성장세 전망 등에 엔터테인먼트 테마 상승 속 급등
화이브라더스코리아(204630) : 엔터테인먼트 테마 상승 속 매각 추진 기대감 지속에 급등
티에이치엔(019180) : 자동차 수요 회복 전망 등에 자동차부품 테마 상승 속 급등
파라다이스(034230) : 코로나19 백신 개발 기대감 등에 카지노 테마 상승 속 급등
한라홀딩스(060980) : 주요 자회사 실적 개선 기대감 등에 급등
알테오젠(196170) : 올해 기술 수출 기대감 지속에 급등
두올(016740) : 자동차 수요 회복 전망 등에 자동차부품 테마 상승 속 급등
나무가(190510) : TSMC, 화웨이 수주 중단에 따른 반사이익 기대감에 갤럭시 부품주 상승 속 급등
하나머티리얼즈(166090) : 2분기 사상 최대 실적 기대감 등에 급등
효성중공업(298040) : 산업부, 수소차 5만대분 수소추출시설 구축 사업 대상 선정 소식에 수소차 테마 상승 속 급등
삼화전자(011230) : 산업부, 수소차 5만대분 수소추출시설 구축 사업 대상 선정 소식에 수소차 테마 상승 속 급등

댓글